본문 바로가기


문화영향평가 소개

평가현황

연도별 평가 현황

전체 평가 수 247

연도별 평가수 - 2014(시범) : 4 / 2015(시범) : 5 / 2016 : 15 / 2017 : 15 / 2018 : 35 / 2019 : 35 / 2020 : 46 / 2021 : 42 / 2022 : 50

평가유형별 현황

단위 : 건

평가유형별 현황표 - 2014,2015,2016,2017,2018,2019,2020,2021,2022, 총계로 구성됨
2014
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총계
시범평가
4
5
1
10
자체평가
10
18
35
34
43
140
진단평가
20
2
31
53
약식평가
10
18
15
32
12
87
전문평가
15
14
25
17
11
8
7
97
기본평가(단계별)
7
21
8
8(3)
6(2)
7(6)
57(11)
심층평가
15
7
3
8
2
1
36
전략평가
1
1
1
1
4
총 평가 수
4
5
15
15
35
35
46
42
50
247

참여 정부부처

    • 도시재생사업
    • 행복주택사업
    • 학생종합복지센터(대학생 연합기숙사) 건립 및 운영사업
    • 새뜰마을 사업 (취약지역 생활개선 개조)
    • 농촌체험, 휴양마을 사업
    • 로컬푸드 직매장 지원사업
    • 문화재 돌봄사업
    • 지역문화재 활용사업
    • 고도(古都) 이미지 찾기 사업
    • 경주월성 복원정비사업
    • 문화로 행복한 학교 만들기 사업
    • 산업단지, 폐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
    •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법령
    • 글로벌 명품시장 육성 사업

참여 지자체 현황

원본보기
뷰어 닫기

원본 이미지입니다.
두 손가락을 이용해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.

닫기

평가대상 유형별 현황

단위: 건

도시재생사업
89
문화도시/특화사업
88
문화재 복원활용사업
17
기타 사업
54

* 기타사업 : 법령, 댐건설, 환경조성사업, 일반·중장기 계획, 마을공동체 조성사업, 시설건축사업 등

연혁

2022
  • 사후평가 시범 운영
  • 진단평가(법령) 시범 운영
  • 총 50건 정책사업 및 계획 대상 문화영향평가 시행
    - 자체평가 43건(진단 31, 약식 12)
    - 전문평가 7건(기본-단계별 6, 기본 1)
  • 2022~2023년 전문가위원회 위원 68명 위촉
  • 문화영향평가 시스템 시범 운영
2021
  • 총 42건 정책사업 및 계획 대상 문화영향평가 시행
    - 자체평가 34건(진단 2, 약식 32)
    - 전문평가 8건(기본-단계별 2, 기본 4, 심층 1, 전략 1)
  • 문화영향평가시스템 개발
위쪽 화살표
2020
  • 계획 및 정책의 담당자가 점검표를 활용하는 자체평가(진단평가)도입
  • 총 46건 정책사업 및 계획 대상 문화영향평가 시행
    - 자체평가 35건(진단 20, 약식 15)
    - 전문평가 11건(기본-단계별 3, 기본 5, 심층 2, 전략 1)
  • 2020~2021년 전문가위원회 위원 63명 위촉
2019
  • 총 35건 정책사업 및 계획 대상 문화영향평가 시행
    - 자체평가 18건(약식 18)
    - 전문평가 17건(기본 8, 심층 8, 전략 1)
위쪽
2018
  • 계획 및 정책의 담당자가 점검표를 활용하는 자체평가(약식평가)도입
  •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「문화기본법 시행령」 개정 추진
  • 총 35건 정책사업 및 계획 대상 문화영향평가 시행
    - 자체평가 10건(약식 10)
    - 전문평가 25건(기본 21, 심층 3, 전략 1)
제도개선 및 평가 활성화
2017
  • 총 15건 정책사업 및 계획 대상
    문화영향평가 시행
    - 전문평가 14건(기본 7, 심층 7)
    - 시범평가 1건
2016
  • 본 평가 시작
  • 총 15건 정책사업 및 계획 대상
    문화영향평가 시행
    - 전문평가 15건(심층 15)
본 평가 추진
위쪽 화살표
2015
  • 총 5건 정책사업 및 계획 대상 시범평가
    시행(농림축산식품부, 중소기업청,
    서울특별시, 강원도)
2014
  • 「문화기본법」 시행(2014. 3. 31.)
  • 문화영향평가 지원기관 지정(문화체육관광부고시
    제2014-35호, 2014. 9. 11.)
  • 총 4건 정책사업 및 계획 대상 시범평가
    시행(문화체육관광부 및 국토교통부)
시범평가 추진
2013
  • 「문화기본법」 제정(법률12134호,
    2013. 12. 30. 제정) 및 동법 제5조
    제4항에 의거한 ‘문화영향평가’ 제도 도입
근거 법률 제정
2003
  • 참여정부 국정과제에 문화영향평가
    제도 도입 포함
  • 문화 분야 계획「창의한국 - 21세기 새로운 문화의 비전」에 포함
제도화 논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