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
문화영향평가 소개

문화영향평가 제도

평가 목적

  • 문화적 가치의
    사회적 확산

  • 지속가능한 성장과
    삶의 질 향상

  • 정책의 사회적
    수용가능성과
    효용성 제고

『문화기본법』 제5조(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) 제4항

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각종 계획과 정책을 수립할 때에 문화적 관점에서 국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문화적 가치가 사회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.

평가 대상

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수립하는 각종 계획 및 정책

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평가의 대상

「문화기본법 시행령」 제2조 제1항에 의거하여 중앙행정기관의 장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장 등이 자체적으로 평가하기로 한 정책사업이나 계획

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시행하는 평가의 대상

  • 「문화기본법 시행령」 제2조 제3항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평가를 시행하도록 규정한 경우
  •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문화영향평가를 요청하는 경우
  • 「문화기본법 시행령」 제3조에 따른 협력체계를 통한 협의를 거쳐 문화영향평가를 하기로 한 경우

평가 지표

평가지표 목록표 - 평가지표, 평가문항, 고려사항으로 구성됨
평가지표 평가문항 고려사항
문화기본권

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

  • 지역민이 문화생활을 누리고 향유할 권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가?
  • 문화접근성이 저하되는 계층이나 지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가?
  • 문화향유권
  • 문화환경권

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

  • 주민들의 문화적 표현 기회와 창작활동이 저하되는가?
  • 계획과 시행에서 주민참여와 정보공개를 통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는가?
  • 문화참여권
  • 정보문화향유권
문화정체성

문화유산에 미치는 영향

  • 지역의 고유한 문화유산의 기본적 가치에 훼손을 주었는가?
  • 문화유산을 향유할 권리를 저해하는가?
  • 문화유산 보호
  • 문화유산향유권

공동체에 미치는 영향

  • 지역의 정체성 및 고유문화를 훼손하는가?
  • 사회적 관계 속 구성원 간 분열과 대립이 유발하는가?
  • 계획과 시행 과정에서 주민, 문화예술인과 지역단체 간 교류와 협력이 잘 보장되고 있는가?
  • 지역공동체
  • 갈등발생 가능성
  • 사회적 합의
문화발전

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

  • 지역 내 문화적 획일화에 영향을 주는가?
  • 지역사회 소수집단의 문화적 활동에 변화가 발생하는가?
  • 문화 소비에 있어 소외되는 계층이 파생될 수 있는가?
  • 문화다양성 권리
  • 문화평등권
  • 문화격차

창의성에 미치는 영향

  • 사회구성원들의 창의성 발전을 저해하는 내용을 포함하는가?
  • 지역사회 내 새로운 변화와 혁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가?
  • 창의성 발전
  • 미래지향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