평가절차
평가유형별 현황
평가 방식 및 수준 표_구분, 평가 유형으로 이루어짐
|
2014 |
2015 |
2016 |
2017 |
2018 |
2019 |
2020 |
2021 |
2022 |
2023 |
계 |
시범평가 |
4 |
5 |
|
1 |
|
|
|
|
|
|
10 |
진단평가 |
|
|
|
|
|
|
20 |
2 |
31 |
40 |
93 |
약식평가 |
|
|
|
|
10 |
18 |
15 |
32 |
12 |
14 |
101 |
전문평가 |
|
|
15 |
14 |
25 |
17 |
11 |
8 |
7 |
6 |
103 |
총 평가 수 |
4 |
5 |
15 |
15 |
35 |
35 |
46 |
42 |
50 |
60 |
307 |
참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현황
-
서울특별시15건
-
인천광역시19건
-
경기도50건
-
충청남도10건
-
세종특별자치시3건
-
대전광역시5건
-
전라북도20건
-
광주광역시5건
-
전라남도21건
-
강원도30건
-
충청북도7건
-
경상북도17건
-
대구광역시7건
-
울산광역시4건
-
부산광역시10건
-
경상남도31건
-
제주도12건
- · 교육부ㆍ1건
- · 국토교통부ㆍ2건
- · 농림축산식품부ㆍ3건
- · 문화재청ㆍ5건
- · 중소기업청ㆍ1건
- · 문화체육관광부ㆍ29건
전체 평가 건수
2014-2023
307
연혁
- 도입기
-
-
2013
- 「문화기본법」 제정(법률12134호, 2013. 12. 30. 제정) 및 같은법 제5조 제4항에 의거한 ‘문화영향평가’ 제도 도입
-
2014
- 「문화기본법」 시행 (2014. 3. 31.)
- 문화영향평가 지원기관 지정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4-35호
(2014. 9. 11.)
- 시범평가 4건 시행문화체육관광부, 국토교통부
- 2015
- 시범평가 5건 시행농림축산식품부, 중소기업청,
서울특별시, 강원도
- 성장기
-
-
2016
- 문화영향평가 15건 시행전문평가 15건(심층 15)
-
2017
- 문화영향평가 15건 시행시범평가 1건 전문평가 14건
(기본 7, 심층 7)
-
2018
- 계획 및 정책의 담당자가 점검표를 활용하는 자체평가(약식평가) 도입
-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
「문화기본법 시행령」 개정 추진
- 문화영향평가 35건 시행 약식평가 10건 전문평가 25건
(기본 21, 심층 3, 전략 1)
- 확산기
-
-
2019
- 문화영향평가 35건 시행약식평가 18건 전문평가 17건
(기본 8, 심층 8, 전략 1)
-
2020
- 계획 및 정책의 담당자가 점검표를 활용하는 자체평가(진단평가) 도입
- 2020~2021년 전문가위원회 위원 63명 위촉
- 문화영향평가 46건 시행 자체평가 20건 약식평가 15건 전문평가 11건
(기본단계별 3, 기본 5, 심층 2, 전략 1)
-
2021
- 문화영향평가시스템(온라인) 개발
- 문화영향평가 42건 시행 자체평가 2건 약식평가 32건 전문평가 8건
(기본단계별 2, 기본 4, 심층 1, 전략 1)
- 도약기
-
-
2022
- 사후평가 시범 운영
- 진단평가(법령) 시범 운영
- 2022~2023년 전문가위원회 위원 68명 위촉
- 문화영향평가시스템(온라인) 시범 운영
-
문화영향평가 50건 시행
자체평가 31건 약식평가 12건 전문평가 7건
(기본단계별 6, 기본 1)
-
2023
- 모듈형 평가 도입 (전략+진단)
- 문화영향평가시스템(온라인) 본격 운영
- 문화영향평가 60건 시행자체평가 40건 약식평가 14건 전문평가 6건
(기본단계별 3, 기본 1, 전략 2)